건강하고 가치있는 선택, 아리수
HOME > 서울물연구원 > 연구원 소개 > 실험실현황 > 수질연구과
서울물연구원

관련기관 바로가기

산하기관 홈페이지 이동

산하기관 홈페이지

이동
우리수도사업소 찾기 이동

우리수도사업소 찾기

이동

실험실현황

수질연구과 먹는물분석과 신물질분석과 미생물검사과

수질 모니터링/모델링 연구실

한강 지류에서 수질사고(오염물질 유출)가 발생했을 때 취수장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로 예측하여 관련 부서에 전파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여름철 녹조발생 취약시기에 유해남조류 농도를 사전 예측하여 정수장에서 안전한 아리수 생산을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수질사고 발생 시 취수장별 도달시간 및 농도 예측
  • 취수지점 유해남조류 수질예보 운영(녹조발생 취약시기: 6~10월)
  • 기상/수문/오염원/수질 → DB → 3차원 수질 모델링 예측 → 의사결정 지원

    < 수질사고영향 및 조류발생 예측 시스템 구조 >

  • 자양-=풍납-암사-강북의 녹조 예측결과 예시

    < 녹조 예측결과 예시 >

한강 및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류천의 지속적인 수질관리와 수질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이동형 수질모니터링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이동 차량과 수질분석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현장에서 실시간 수질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 수질분석항목: 현장측정항목(수온, DO, pH, EC), 오염도 분석(TOC, TN, TP, NH3-N), 수질사고 감시(클로로필-a, 유분, 세제)
  • < 수질분석차량 >

  • < 수질분석시스템 >

  • 모니터링 지점: 15개소

    ※ 한강본류(5): 강동대교 북/남단, 한강수석공원, 강북정수장, 광나루시민공원

    ※ 지류천(10): 왕숙천, 홍릉천, 덕소천, 월문천, 도심천, 궁촌천, 산곡천, 덕풍천, 고덕천, 성내천

  • 성내천/광나루 시민공원/고덕천/토평IC 북단/왕숙천2/토평IC 남단/홍릉천/덕소천/월문천/도심천/궁촌천/강북 취수장/덕풍천/산곡천 - 수질모니터링 지점

    < 수질모니터링 지점 >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 또는 기능에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정보제공부서
서울물연구원 수질분석부 수질연구과
담당
나용운
전화번호
02-3146-1736

아리수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