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경보제
조류경보제 수질검사
서울물연구원은 조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조류경보 발령에 대한 대응, 오염물질이이나 유입에 대해 감시하는 등 수질 이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 양질의 수돗물 원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환경부, 경기도 등과 함께 상수원 보호구역을 감시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원수 수질검사와 각 취수장에 설치된 유해물질 자동 감시시스템을 통해 원수 수질을 철저히 감시하고 있습니다.
한강 상수원 조류 경보제 수질검사
- 대상 : 4 지점(한강본류 4개 교량 중심부)
- 미사대교, 강동대교, 광진교, 잠실철교
- 검사항목 : 9 항목
- 수온, pH, 용존산소량, 투명도, 탁도, 클로로필-에이
- 조류세포수(유해남조류), 지오스민, 2-MIB
- 주기 : 주 1회
- 분석법 :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조류경보제운영매뉴얼
구분 | 조류 경보제 |
---|---|
근거 | 법적사항(물환경보전법 제21조) |
대상구간 | 미사대교 ~ 잠실철교 |
경보지표 | 유해남조류 4종 |
기준 |
|
발령방법 | 기준 2회 연속 초과 시 발령 |
측정지점 | 한강본류 4지점 |
남조류의 특징과 발생 환경 조건
- 남조류는 남세균(cyanobacteria)이라고도 하며 원핵생물(prokaryote)이면서 광합성 시스템을 갖는 지구상 최초의 조류
- 유해남조류 4속의 특성
유해남조류 4속(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오실라토리아, 아파니조메논)의 현미경 사진, 최적 수온, 조류독소, 냄새물질 정보 구분 마이크로시스티스
(Microcystis)아나베나
(Anabaena)오실라토리아
(Oscillatoria)아파니조메논
(Aphanizomenon)현미경사진 최적 수온 30∼32℃ 28∼32℃ 15∼20℃ 18∼21℃ 조류독소 마이크로시스틴 마이크로시스틴, 아나톡신 마이크로시스틴, 아나톡신 아나톡신, 삭시톡신 냄새물질 - 지오스민 2-MIB, 지오스민 지오스민 - WHO는 환경조건에 따른 남조류 대발생 가능성 평가를 위해 총인, 체류시간, 수온 등 관련 지표를 제시
(출처: WHO, 2015, Management of cyanobacteria in drinking water supplies)
[ < 표 > 수질환경 조건에 따른 남조류 번식 가능성 평가 ]
수질환경(수온, 총인, 체류시간, pH)에 따른 남조류 번식 가능성 평가 정보 구분 녹조 발생 가능성 매우 낮음 낮음 보통 높음 매우높음 수온(℃) < 10 10∼15 15∼20 20∼25 ≥ 25 총인(μg/L) < 10 10∼25 25∼50 50∼100 > 100 체류시간 가시적인 흐름 1개월 미만 1개월 이상 pH < 6 6~7 > 7 - 수온 25℃ 이상, 총인 25∼50 μg/L 이상, 체류시간 1개월 이상, 강한 성층형성
- 햇빛의 세기나 바람(수표면에 부유)과 같은 다른 요인도 남조류의 성장과 축적에 영향을 미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