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하고 가치있는 선택, 아리수
HOME > 서울물연구원 > 연구사업 > 연구분야 > 수질관리
서울물연구원

관련기관 바로가기

산하기관 홈페이지 이동

산하기관 홈페이지

이동
우리수도사업소 찾기 이동

우리수도사업소 찾기

이동

연구분야

원수 수질관리

강원도 태백시 검룡소에서 발원한 한강은 총연장이 514km로서 서울시민의 유일한 취수원입니다.
서울물연구원은 한강 상류와 상수원 수질 변동이 취수원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수처리 공정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서울물연구원은 조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조류경보 발령에 대한 대응, 오염물질이나 유입에 대해 감시하는 등 수질 이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정수 수질관리

아리수는 국가에서 정한 먹는물 수질기준 60개와 ‘서울특별시 감시항목’ 111개 등 총 171개 항목을 국제수준(WHO) 이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미규제 신종물질 160개(’20년 기준 총 331항목)에 대하여 분석법을 개발하고 원·정수 실태조사를 통하여 수돗물 아리수의 안전성을 엄격하게 확인하고 있습니다.

원수에서 가정까지 체계적인 수질관리

서울물연구원은 정수센터에서 관말까지 공급과정에서 수돗물 수질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안전한 수돗물 공급 및 고품질 수돗물 관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을 철저하게 관리하기 위해 지표세균, 병원성세균 등을 정기적으로 감시하여 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는 물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매년 다중이용시설과 취약계층의 아리수 음용 문화 개선을 위하여 정밀수질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맛·냄새물질 대응을 위한 수질관리

수돗물의 맛·냄새물질 및 미량유해물질은 정수센터에서 표준정수처리공정과 함께 오존과 입상활성탄 공정을 추가한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서울물연구원에서는 정수, 배급수 수질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고도정수처리공정의 핵심인 수처리제의 품질검사와 개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처리제(활성탄, 현장제조염소 등) 규격시험과 품질변화 조사, 성능개선 연구를 위하여 입상활성탄 21항목, 과산화수소 13항목, 현장제조염소 11항목 등 품질검사를 강화하여 시민들이 한층 더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분석기술을 이용한 미생물 신속 검출

차세대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한 원수 및 정수처리 공정수의 미생물 군집조성을 분석하여 병원성 및 이슈 미생물을 선제적으로 감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조류 이미지 분석기 및 인공지능 기술 등을 활용한 미생물 신속 검출방안을 연구함으로써 아리수의 미생물 안전성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 또는 기능에 만족하십니까?

* 만족도 조사결과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정보제공부서
서울물연구원 수질분석부 수질연구과
담당
송만식
전화번호
02-3146-1731

아리수톡